사이버 보안(Cybersecurity)은 인터넷과 컴퓨터, 모바일 등을 포함한 정보통신 기술을 통해 발생하는 정보보안 위협들로부터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하는 기술과 프로세스를 일컫습니다. 요즘은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면서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이버 공격의 종류와 대응 방안, 취약점 발견 및 대처 기술, 보안 관련 법규와 규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버 공격의 종류와 대응 방안
- 악성 코드(Malware)
공격 악성 코드 공격은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감염시켜 데이터 유출이나 개인정보 도난을 목적으로 하는 공격입니다. 대표적인 악성 코드로는 바이러스(Virus), 웜(Worm), 트로이 목마(Trojan) 등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백신 소프트웨어 설치 및 주기적인 업데이트, 중요한 파일 데이터는 백업하는 등의 예방책과 최신 보안 패치 및 백신 소프트웨어 설치 등이 있습니다.
- DDoS 공격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은 다수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대상 웹 서버나 네트워크 대역폭 등을 넘어설 정도로 큰 수의 트래픽을 만들어 웹사이트나 인트라넷 등의 서비스 접근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공격입니다. 대응 방안으로는 웹 방화벽을 이용한 대처 등이 있습니다.
- 스팸 메일(스팸) 공격
스팸 메일(스팸) 공격은 정상적인 e-mail 서비스를 방해하거나, 사기성 e-mail을 발송하여 정보 유출을 목적으로 하는 공격입니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스팸 필터링 설치, 보안 소프트웨어 설치, 주기적인 업데이트 등이 있습니다.
- SQL Injection(인젝션) 공격
SQL Injection(인젝션) 공격은 웹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SQL 구문을 주입해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정보를 탈취하거나 데이터를 변조하는 공격입니다. 대응 방안으로는 웹 방화벽을 이용한 대처, 불필요한 관리자 권한 제한 등 강화된 권한 관리 등이 있습니다.
취약점 발견 및 대처 기술
취약점 발견 및 대처 기술은 시스템의 취약점을 발견하고, 그것을 미리 대응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 공격에 대비하는 기술입니다.
- 취약점 스캐닝 취약점 스캐닝은 시스템의 취약한 내역 및 버그 등을 찾아내는 기술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취약점 스캐너라고 불리는 도구를 이용하여 스캔합니다.
- 취약점 패치 취약점 패치는 시스템의 취약점이 발견되면 패치를 통해 보완하는 것입니다. 패치의 경우 운영체제(OS)나 애플리케이션 제조사 등이 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보안 업데이트 보안 업데이트는 시스템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제조사에서 발표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의 관련 정보들을 운영체제나 보안 소프트웨어 등에 반영하여,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보안 관련 법규와 규제에 대하여
사이버 공격이 늘어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 보안 관련 법규와 규제가 제정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법 개인정보 보호법은 개인정보의 처리와 보호에 관한 법률로, 어떤 형태로든 개인(생존하는 개인을 말합니다)의 정보를 수집, 이용, 제공, 처리, 관리, 파기하는 경우 개인정보 보호 의무가 발생합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 대상, 개인정보 처리 주체, 처리목적 등이 제시되며, 해당 법규를 어길 경우에는 민사, 형사 책임을 지게 됩니다.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은 정보통신망의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를 위한 법률로, 개인정보 보호법과 함께 사이버 보안을 규제하는 법률입니다.
- 사이버보안 기술 보호법 사이버보안 기술 보호법은 사이버 공격 등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방식들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담당 기관에서는 적극적인 기술 보호와 연구개발을 위해 관련 규제와 보호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법규 등이 제정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국내에서도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으며, 보안 기술 및 인력의 부족 등 보안 문제에 대한 대응과 노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사이버 공격의 종류와 대응 방안 및 취약점 발견 및 대처 기술, 그리고 보안 관련 법규와 규제 등이 각각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적극적인 예방 및 대응책 마련을 통해, 더욱 안전한 사이버 공간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사이버 보안 관련 웹사이트
'IT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란? (0) | 2023.07.15 |
---|---|
비트코인(Bitcoin)이란? (0) | 2023.07.14 |
딥 러닝(Deep Learning)이란? (0) | 2023.07.13 |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1) | 2023.07.12 |
빅 데이터(Big Data)란? (0) | 2023.07.12 |